선인장 - 번식-선인장 종자번식

      
 1. 종자번식의 특성
    종자번식은 다른 번식법에 비하여 번식속도가 빠르고 다량의 식물체를 얻을 수 있으며 신품종의 육성 또는 무병주의 생산을 위해서 쓰이고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자번식은 다른 번식법에 비해서 교배하는 과정과 종자를 파종하여 잘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분리가 일어나기 때문에 특성이 모두 같은 식물체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도 하다. 
   선인장은 일부의 종만이 자가수정을 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선인장은 자가불화합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가수정으로만 종자번식이 가능하므로 같은 종류의 선인장을 두 주 이상 준비하고 선인장은 개화기간이 1, 2일 정도로 매우 짧은 편이기 때문에 모본으로 준비한 선인장은 개화기를 잘 맞추어야 한다. 

 2. 수분 및 수정
    교배는 교배붓을 이용 꽃가루를 묻혀서 다른 꽃의 암술에 묻혀준다. 좀더 정밀하게 할때는 핀셋으로 꽃가루가 터져 있는 수술머리를 따내어 이것을 다른 꽃의 암술머리에 묻혀준다. 선인장은 종류에 따라서는 암술이 수술보다 짧아서 암술머리가 수술보다 아래에 숨겨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칼로 꽃잎을 세로로 갈라서 암술머리를 노출시킨 후 교배를 하거나 꽃잎과 수술을 절단하고 교배를 한다. 꽃잎과 수술을 절단시에는 암술의 건조를 막기 위하여 알미늄호일 등으로 수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꼬깔을 씌어주는게 좋다. 교배할 때의 습도가 높으면 꽃가루가 잘 터지지 않기 때문에 교배하기 전에는 물을 주지 말고 가능한 한 통풍이 좋게해야 수정이 될 확율이 높다. 교배후 4, 5일후에 꽃잎을 살짝 잡아당겨 보아 저항성이 있으면 수정이 되어있는 증거로 이때부터 자방이 비대하기 시작한다. 

 3. 채종
    종자가 맺히는 시기는 종류에 따라서 매우 다르며 익는 속도도 다르다. 익는 속도가 빠른 유성류는 교배후 약 20일 정도면 완전히 익고, 일반적인 선인장류는 약 3~5개월정도가 걸리게 되며 종자의 익는 속도가 느린 목단류는 약 1년이 지나야 종자가 완전히 익게 된다. 비모란 종자는 고온기에는 3~5개월안에 되지만 저온기때는 6개월 이상 소요된다. 
   완전히 익은 과실로부터 물로 잘 닦아서 종자를 벗겨내어 점액과 털 등을 깨끗이 없앤다. 종자를 오래 보존하고 싶을 때는 조제를 하지 말고 과실 그대로 완전히 말린 후 통풍 이 잘되는 건조한 곳에 보관하면 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발아율이 점점 떨어지게 된다. 

  
  
그림 1. 수확된 비모란의 꼬투리그림 2. 비모란 종자의 단면
   
 4. 파종
    파종시기는 4, 5월에 채종한 것은 5월 하순이 좋고, 장마기와 여름고온은 피해서 9월 후에 파종도 좋다. 겨울에는 가온시설이 되어 있는 시설이라면 부패가 적은 이점이 있어 좋으나 온도가 최저 25℃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파종은 높이가 낮고 넓은 분재용 화분 등을 살균해서 깨끗이 한 후 질석이나 고운 모래, 또는 파종용 피트 등을 넣고 종자를 적당한 거리로 산파나 점파를 한 다음에 복토는 하지 않고 살균제를 약하게 탄 물에다 화분을 담가 저면관수를 한다. 충분한 수분을 확보한 다음 분 위에 유리를 덮고 유리위에 신문지를 놓아서 차광한다. 
   선인장은 대부분 발아 온도는 최저 20℃에서 최고 35℃까지이며 최적온도는 30℃전후이다. 파종한지 3일에서 10일 사이에 발아가 시작되며 일단 발아가 다 된 후에 유리는 그대로 두고 차광한 것만 제거하고 50%정도 차광되는 온실로 옮겨 놓고 수분만 분무기로 잘 공급해 주면 첫번째 이식할 때까지 이상없이 잘 자란다. 선인장은 쌍떡잎식물로 발아시 떡잎이 전개되고 난 후 구가 형성된다. 

  
  그림 3. 선인장의 종자 파종

 5. 발아와 자라기
    선인장의 발아조건은 1960년초 아리조나 대학의 Stanley Alcorn 과 Edwin Kurtz의 실험에 의하면 660nm의 적색이나 백색광에서 종자발아가 매우 촉진되었으며 어두운 조건이나 730nm의 원적색광에서는 발아가 매우 억제된다고 보고하였다. 선인장의 종자는 빛, 수분, 온도가 적당한 조건이 되면 종자가 수분을 흡수하고 종자 안쪽의 배가 팽창하며 배의 어린뿌리가 신장을 시작한다. 종자의 배가 팽창하면 종피의 연결부위가 박스처럼 열리고 유근이 신장하며 토양을 뚫고 나온다. 
   페레스키아 유묘와 epiphyles, opuntioids의 일부는 다육이 아닌 두텁지 않거나 잎 모양의 떡잎을 가진다. 전형적인 선인장 유묘의 구조는 떡잎과 뿌리사이에 다육의 배축을 가지며 종종 두개의 다육질의 작은 떡잎을 가진다. 유묘의 유근은 두껍고 1주일 이내에 유근으로부터 주피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상배축은 두 개의 떡잎과 정단부에 shoot의 자리가 있다. 이 정아부는 식물의 지상부를 형성한다. 종자 안에서의 shoot는 가시자리를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유묘의 세포들이 충분하게 팽창하기 전에 단지 몇 일의 기간에 첫 번째 잎과 가시자리가 형성되며 shoot위에 가시가 출현한다. 페레스키아에서는 두껍지 않은 잎으로 된 떡잎을 가지며 새로운 shoot가 급속히 신장하고 전통적인 목질의 쌍자엽 식물과 같이 빠르게 shoot가 신장한다. 다육의 선인장 유묘는 첫째주 동안에는 줄기의 경축이 없으며 shoot의 정단의 신장은 떡잎이나 다육질의 배축에 물질의 이동에 의존한다. 

  
  그림 4. 선인장의 발아전경

 6. 표면과 부피의 증가와 수분의 저장
    선인장은 매우 천천히 자라기 때문에 발아한 새로운 배축과 자엽에서 성숙되어 개화 식물이 되기까지 많은 인내를 필요로 하게 된다. 발아 후 최초의 단계에서 정단부가 발달하여 몇 개의 약한 가시가 나오고 shoot의 모양과 직경에 큰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정단부는 그들의 구와 가시에 관련된 새로운 잎을 생성하고 차차 구경이 증가된다. 하지만 shoot의 정상에서 심, 결각 분열조직과 주변부분으로부터 각각 심과 외피가 동시에 발달하고 이에 의해서 줄기 부분에 다육질이 형성된다. 첫 번째 형성되어진 구는 작거나 편편하게 나선모양으로 배열되고 후에는 새로운 세포분열이 잎의 기부로 확대되기 때문에 커진다. 초기에 식물은 구형모양을 유지하다 후에는 줄기의 길이가 신장하여 위로 자라게 된다. 그러나 너무 빨리 자라게 되면 가늘고 길게 되거나 곤봉모양으로 자라게 된다. 구형선인장은 많은 년수가 경과하면 구형으로부터 원주형으로 변한다. 원형으로부터 원주형으로 자라기 시작하면 수직으로 결각이 배열되게 되며 착생 선인장과 작은 원기둥, 원주형 마밀라리아, 원주형 오픈티아는 별도의 나선형 배열이 이루어진다. 다육이 잘 발달된 것은 원주형보다 원형으로 작은 자구에서 잘 발달한 원형이나 편편한 구로 모양이 신장하면서 변화한다. 구형의 주요 이점이 하나는 증발표면적의 단위당 물의 저장하는 부피가 크다는데 있다. 
  구체의 표면적에 대한 부피의 비율을 계산하면 (r 은 반경을 나타냄) 

  
  
    넓은 구체 또는 원주형은 반경이 배가될 때 표면적에 대한 부피율도 배가되어 같은 표면적에 더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부가적으로 전체 표면적으로 볼 때 원주형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것 보다 구형은 더 많은 물의 저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구형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보유력에서 이상적인 모형이다. 줄기의 광합성의 면적의 증가에 의해서 생육의 증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물의 저장을 위해서 보다 큰 부피가 요구되나 광합성의 요구 면적과 서로 상충된다. 

 7. 이식작업
    이식은 장마기와 고온을 제외한 3월부터 10월에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가온설비가 있는 경우는 겨울에도 가능하다. 이식은 될 수 있으면 묘가 커진후에 하는 것이 관리가 용이하여 실패할 확률이 적다. 이식하기 3, 4일 전부터는 물을 끊어 건조시키고 뿌리가 끊기지 않도록 심는다. 심은 후 2일 정도는 물을 주지 말고 신문지 등으로 덮어놓았다가 그 후에 충분히 관수한다. 
   이식은 프러그판이나 베드에 종류별로 자라는 속도에 따라 일정한 거리로 핀셋을 이용하여 이식한다. 

   
   그림 5. 선인장의 단계별 이식적기

   
   그림 6. 일본의 프러그판을 이용한 이식

 참 고 문 헌
  
 임경민. 1989. 식물의 번식. 대한교과서.
정명일 외. 2001. 선인장과 다육식물재배. 농촌진흥청.
伊藤芳夫. 1954. サボテンの裁培と觀賞. 朝倉書店.
________. 1958. サボデンの知識と裁培法. タキイ種苗株式會社出版部.
 1977. サボデンと多肉植物. 誠文堂新光社.
      
      


+ Recent posts